본문 바로가기

Kong Story

<가문의 부활: 가문의 영광3>의 공형진②_2006.9.21 -그동안 맡아왔던 인물들은 언제나 ‘우리 편’이었던 캐릭터였다. 친근한 옆집 형 같은, 언제든 조언을 구할 수 있는. 사실 그러한 기존 이미지 때문에 악역 연기가 좀처럼 눈에 들어오지 않더라. 게다가 이번 역할은 그냥 나쁜 놈이 아니라 웃기기까지 해야 하지 않나. =생경하다, 생뚱맞다, 그럴 수 있다. 다만 이걸 좀 감안해줬으면 한다. 시리즈에서 악역은 최대한 리얼하게 얼마나 나쁜 놈인가를 보여주는 데 있지 않다. 중간중간 관객과 호흡하면서 때론 웃음도 줘야 하는 거다. 극중 봉 검사는 치를 떨 만큼 나쁜 놈일 수 없다. 백호파 식구들을 최대한 살려주기 위해 반대편에 서 있는 인물일 뿐이다. 계속 인상 쓰고 있을 순 없는 거지. 나름대로는 주도면밀하게 꿍꿍이를 꾸민다고 하는데 실은 허술하기 짝이 없는 그.. 더보기
<가문의 부활: 가문의 영광3>의 공형진①_2006.9.21 “나 아직 정말 많이 배고프다”“나를 왜 만나자고 한 거예요?” 인터뷰 도중 공형진이 대뜸 물었다. 개봉을 앞둔 에 출연해서? 이번 영화에서 선한 눈매와 어울리지 않아 뵈는 악역을 맡아서? 민망하고 딱하게도, 적절한 답변이 떠오르지 않았다. 뭘 새삼스럽게 그런 걸 묻나, 싶었을 뿐이다. (1990)로 데뷔한 지 17년째. 공형진은 언제나 한결같다. 그 한결같음 때문에 “나를 왜 만나자고 했느냐”는 돌발 질문에 꿀먹은 벙어리가 됐는지도 모르겠다. 변신에 목말라하지도 않고, 인기에 연연하지 않는 그는 그동안 빛나지 않는 빈자리를 쉼없이 메워오면서 ‘코믹배우’, ‘감초배우’ 같은 그닥 달갑지 않은 수식을 얻었지만, 여전히 “대중이 원한다면 언제까지나 그 자리에 있을 것”이라고 단언한다. 분위기 메이커를 자처하.. 더보기
공형진 “이제 징하게 울리는 연기를 하고 싶다”_2005.10.17 이제 징하게 울리는 연기를... 2003년에서 2004년까지 개봉작은 대체로 공형진(36)이 나오는 영화와 그렇지 않은 작품으로 갈린다는 우스개가 통할 정도로 공형진은 한때 주춤했던 연기생활의 한을 풀 듯 다작했다. 그 속에는 주연으로 출연했던 ‘동해물과 백두산이’나 ‘라이어’도 있었고, ‘태극기 휘날리며’ 같은 흥행대작이 있는가 하면 ‘오, 브라더스’나 ‘위대한 유산’ 같은 카메오도 있었다. 사람 좋은 성격 때문에 매니저도 모르게 출연을 약속하며 작품목록을 늘렸다. 어떤 장면의 어떤 역할을 맡아도 확실하고 안전하게 ‘한방’을 해 주기 때문에 많은 감독이 그를 쓰고 싶어했다. 만일 ‘흥행 몇 만 배우’라는 이상한 계산법을 적용한다면 그는 적어도 ‘2000만~3000만 배우’는 족히 될 것이다. 그가 등장.. 더보기
공형진(3) - 배우 이외의 삶은 단 한순간도 생각해 본적이 없다_2004.4.16 배우 이외의 삶은 단 한순간도 생각해 본적이 없다에서 쇼트트랙, 빠데루 모션으로 일약 스타덤에 오른 공형진. 흔히들 쓰는 약방의 감초란 말이 그만큼 썩 잘 어울리는 배우도 없을 것 같다. 그의 존재만으로 빛을 내는, 맛깔스런 연기를 입에 착 달라붙게 할 줄 아는 공형진은 주연보다 더 빛나는 조연배우다. 이제 주연배우로서 작품에 참여하게 됐지만 그에게 달라진 점은 별로 없었다. 그는 영화 속에서 늘 배우였기 때문이다. “저의 연기 색깔을 이미지로 표현한다면 짙은 파란색 정도가 될 것 같아요. 그렇지만 분명 내게도 다른 사람이 생각하는 어떤 색깔이나 이미지가 있겠죠. 하지만 제 욕심으로는 어떤 한정된 틀을 갖고 싶지 않아요.”14년간 연기생활을 회고할 때 위기의식을 느낀 순간이나 연기에 대해 회의를 느낀 적.. 더보기
공형진(2) - 배우 이외의 삶은 단 한순간도 생각해 본적이 없다_2004.4.16 아침형 인간은 나의 적일찍 일어나는 새가 벌레를 잡는다는 진리를 거부한 이 남자의 하루 일과를 지켜보다 보면 백수가 봐도 한심할 정도다. ‘일하지 않고 평생 놀고먹을 순 없을까’ 머리 속에 든 생각이라고는 이것뿐인 이 남자의 이름은 노상구이다. 좋은 말로 하면 프리랜서이고 나쁜 말로 하면 백수인 노상구는 죽마고우인 만철(주진모)의 ‘양다리 연애’에 차질을 주지 않기 위해 거짓말을 밥 먹듯이 하게 된다. 그런데 거짓말이 꼬리에 꼬리를 물면서 급기야 커밍아웃까지 선언하게 되는 상황까지 오게 된 이 남자의 모습을 지켜보다보면 웃어야 할지 울어야 할지 도무지 종잡을 수 없게 된다. 거짓말이 진실이 되고, 진실이 거짓말이 될 정도로 상황을 종잡을 수 없게 된 노상구와 정만철은 급기야 이 상황을 되돌리기 위해 서로.. 더보기